네트워크

[네트워크]SVI VS Routed port, Serial IP

Lauren X Ming 2020. 5. 8. 17:01

시리얼 IP

각 인터페이스에 serial IP를 할당함. 

- routing table에서 어느 인터페이스로 나가야 하는지 말할 때, serial ip로 적혀있음.

- 물리적인 IP 필요

L3 인터페이스 : SVI, routed port로 나뉨

  1) SVI(switch virtual interface) 

- 각각의 VLAN에 게이트웨이를 설정

- VLAN간 라우팅에 사용되는 멀티레이어 3계층 인터페이스

- 서브 인터페이스로 vlan을 이용해 나눴을 때 서브 인터페이스에도 ip를 할당해서 시리얼 ip처럼 사용할 필요가 있음.

- layer 3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해줌.

 

  2) routed port 

- no switchport

- broadcast 하지 않음.

- 위에 설명한 serial ip로 사용하기도 한다.

- 포트에 ip를 설정, L3 스위치 사이의 트렁크 포트 연결에 사용

- 서브인터페이스를 지원하지 않으며, 점대점 링크용으로 사용됨

- 개별 VLAN과 결합되지 않음

 

interface Ethernet49/1
   speed forced 40gfull
   no switchport
   ip address 10.8.255.68/31  ## serial IP == routed port
!

interface Vlan100
   ip address 10.8.233.254/30 ## vlan의 serial IP ; SVI
!

interface Ethernet54/1
   switchport mode trunk  ##SVI 들이 지나갈 수 있도록 trunk
!

interface Ethernet54/1.100
   switchport access vlan 100  ## 특정 vlan만 지나갈 수 있도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