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

Switch mode access VS Switch mode trunk

by Lauren X Ming 2020. 5. 8.

Access

switch port에 하나의 VLAN을 할당하여 해당 VLAN끼리만 traffic이 흐를 수 있도록 함

Access는 같은 vlan만 통신

Trunk

하나의 포트로 모든 vlan tag가 달리 packet을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정된 port

즉, Access Mode에서 나갈 때는 vlan tag가 달리지 않음. Trunk에서는 vlan tag가 달림

모든 vlan이 갈 수 있는 길

trunk --> access로 갈 때 vlan tag가 떨어져 나감

- 지정된 access port로 나갈 때 떨어져 나가는 것

 

* vlan trunk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

https://junior-developer.tistory.com/12

 

[네트워크]VLAN(Virtual LAN)이란

VLAN이란 논리적으로 분할된 스위치 네트워크 ; 동적인 조직에서 작업 그룹을 구성할 수 있음. 한 대의 스위치에서 VLAN을 설정, vlan을 설정한 구역끼리만 통신 가능(= 네트워크 구산 나누어짐) - Data link 계..

junior-developer.tistory.com

 

그럼 access로 통신할 때 vlan tag도 없는데 어떻게 구분하느냐?

vlan 간의 통신은 오직 라우팅으로만 통신

같은 vlan인 경우 서로 같은 broadcast domain에 존재하고 ARP 과정에서 같은 네트워크인지 아닌지 알 수 있음.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 routing 개정 4편] BGP  (0) 2021.12.26
[네트워크]SVI VS Routed port, Serial IP  (0) 2020.05.08
[네트워크] 통신방식&전송방식  (1) 2020.02.25
[네트워크] LAN이란?  (0) 2020.02.25
Three-Layer Hierarchical Network Model  (0) 2020.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