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k8s47

[k8s] 3. Pod - 실습 Pod 실습 한 파드에 여러 컨테이너를 생성하는 실습 두 개의 컨테이너가 있음 하나는 이미지가 p8000으로 8000으로 접속 다른 하나는 p8080 1. 파드 생성 여기서 진행 +생성 버튼 클릭 아래 YAML 복붙 후 업데이트 클릭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pod-1 spec: containers: - name: container1 image: kubetm/p8000 ports: - containerPort: 8000 - name: container2 image: kubetm/p8080 ports: - containerPort: 8080 생성중인 pod-1 클릭 상세에서 IP 확인 상태는 Running IP는 서비스 없이 이 파드에 접근할 수 있는 IP .. 2021. 1. 31.
[k8s] 2. 쿠버네티스 설치 쿠버네티스 구성 Usecase Case 1 집에 안 쓰는 노트북에 CentOS를 깔고 KVM을 설치 Case 2 현재 쓰는 노트북에 VirtualBox로 VM 3개 Case 3 구글클라우드를 이용해서 사용 Case 2로 ㄱㄱ Case 2 구성 Host OS: Windows 메모리 12G, CPU 4 Core, Disk 500GB로 가정 Guest OS는 4G, 2 Core, 150GB 구성 Guest에 설정 좀 하고 Kubernetes, Docker를 설치 위 Guest OS를 2개 복사 --> 총 3개의 node, 12G, 6 Core, 450GB 마지막으로 필수 네트워킹 관련 내용과 대시보드 설치 1. Virtualbox, CentOS, MobaXterm 설치 Virtualbox CentOS --> .. 2021. 1. 31.
[k8s] 1. Pod - Container, Label, NodeSchedule Pod의 특징을 알아보자 첫 번째 특징 - Container 파드에는 하나의 독립적인 서비스를 구동할 수 있는 컨테이너가 있음 컨테이너는 포트를 가지고 있고, 한 컨테이너가 포트를 하나 이상 가질 수 있음 하지만 파드 내 컨테이너끼리 포트가 겹치면 안 됨 컨테이너끼리는 포트로 접속 가능 파드가 생성될 때 고유의 IP 주소 할당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내에서만 접근 가능, 외부는 불가능 파드에 문제가 생길 시, IP주소 변경됨 --> 휘발성이 있음 Sample YAML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pod-1 spec: containers: - name: container1 image: kubetm/p8000 ports: - containerPort: 8000 - na.. 2021. 1.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