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112

[k8s] 26. Volume - Dynamic Provisioning, StorageClass, Status, ReclaimPolicy Volume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실제 데이터는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와 Volume으로 분리돼서 관리 이전에 배운 Volume Volume은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사용 Volume은 내부망에서 관리하는 것과 외부망에서 관리하는 것으로 나눌 수 있음 외부망은 아마존, 구글, 마이크로소프트와 같은 스토리지를 사용할 수 있음 내부망은 쿠버네티스를 구성하는 노드의 hostPath, local Volume 또, 내부망에서 On-Premise Solution을 설치할 수 있음 STORAGEOS, Ceph, GlusterFS와 같은게 있고 이게 알아서 노드 자원을 이용해 Volume 관리 내부망에서 또 NFS를 사용해서 다른 서버를 Volume으로 사용 가능 이전에 배운 Kubernetes Cluster.. 2021. 2. 21.
[k8s] 25. Service - 실습 파드가 다른 서비스에 접근하기 위한 방법을 알아보자 1. DNS Service apiVersion: v1 kind: Service metadata: name: clusterip1 spec: selector: svc: clusterip ports: - port: 80 targetPort: 8080 Pod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pod1 labels: svc: clusterip spec: containers: - name: container image: kubetm/app Request Pod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request-pod spec: containers: - name: container imag.. 2021. 2. 19.
[k8s] 24. Service - Headless, Endpoint, ExternalName Service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우선 이전에 배운 내용을 복습 내부망에서 접속 공유기를 통해서 시작하는 아이피에서 내부망이 형성 세 대의 서버를 이용해서 Master와 Node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만들어짐 클러스터에는 파드를 위한 아이피 대역(20으로 시작), 서비스를 위한 아이피 대역이 있음(10으로 시작) 파드는 20으로 시작하고, 서비스는 10으로 시작함 서비스와 파드1, 파드2는 연결되어 있음 서비스는 쿠버네티스의 서버에서만 접근 가능 --> 특정 파드에 클러스터 아이피를 단 건 내부 관리자만 접근할 수 있게 하는 용도 내부망에 여러 기기가 있을 수 있지만 서비스의 아이피를 호출할 순 없음 내부망에 있는 기기가 접근하려면 노드포트(30000) 서비스를 만들어야 함 쿠버네티스 관리자는 내부.. 2021. 2. 18.
[심화][1]Ansible 심화를 위한 환경 설명 with 베이그런트 베이그런트란? 쉬운 프로비져닝,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시스템 자원을 할당, 배치, 배포해 두었다가 필요시 시스템을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미리 준비해두는 것 미리 정의해놓은 정보대로 필요할 때 올려서 사용할 수 있음. ex. CentOS를 설치할 때, 설치가 완료된 후에 ip 등 설정을 하게 되는데,, 베이그런트를 사용하면 설치할 때 자동으로 정보 다 가져가서 한번에 세팅까지 해줌. 즉, 쉽게 프로비져닝이 됨. 설치 환경 가상 머신 하나 ansible server : CentOS 진행방법 1. bash등 명령어 편집을 위해 텍스트 편집기 설치 2. 베이그런트 설치 및 초기화 3. 베이그런트 하일 수정 하여 centos 설치, 버츄어 박스를 통해 각각의 가상머신에서 다양한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 플러.. 2021. 2.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