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

Media Access Technology

by Lauren X Ming 2020. 2. 24.

이더넷은 inner bus 형태를 띔

 

- MAC 계층 : 하부 물리 계층(physical layer)과의 물리적 매체 접속 방식을 다룸

- LLC 계층 : 상위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으로의 연결을 가능하게 함

 

<<MAC 프로토콜의 종류>>

1. CSMA/CD : 이더넷/IEEE 802.3 네트워크에 쓰임

2. Token-Passing : Token Ring/IEEE 802.5 이나 FDDI에서 쓰임


CSMA/CD

특징

1. CSMA/CD LAN에 연결된 스테이션은 언제든 그 네트워크에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2. Carrier - Sense : 현재 네트워크를 사용중인 다른 스테이션이 있는지를 알기 위해 네트워크를 살펴보고 있음. ; 사용중이면 기다리고, 아무도 사용중이지 않다면 데이터를 보냄

collision이 발생하는 경우

개의 스테이션이 같은 네트워크에 대해 서로 사용 중이지 않다는 결론 하에 데이터를 동시에 보내는 경우

Backoff 알고리즘 이용하여 언제 다시 보내야 하는지를 결정한 재전송

 

Broadcast Network

특징 : 네트워크상의 모든 프레임을 모든 스테이션들이 있다는

- 스테이션들은 자기가 프레임의 목적지인지 알기 위해 모든 프레임을 조사

목적지일 때, 상위 프로토콜로 올려 보냄

아닌 경우, 프레임을 폐기

 

ethernet VS IEEE 802.3

가장 큰 차이점 : 프레임 안에 LLC(Logical Link Control) 헤더의 포함여부

ethernet : 자신의 헤더에 상위 계층으로의 연결을 위한 요소(Type field)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LLC 헤더를 포함하지 않고서도 1,2 계층에 해당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Token Ring

논리적 구조

모든 스테이션들이 MSAU (MultiStation Access Unit)라는 장치에 연결됨으로써 하나의 IBM Token Ring 네트워크가 구성

Token-Passing 방식

네트워크 상에 "token"이라 불리 우는 작은 (내용이 비어 있는) 프레임이 하나 돌아 다니는데, 이러한 (empty) token 잡은 스테이션만이 데이터를 전송할 권리를 갖게되는 것

- token 잡은 스테이션이 전송할 데이터가 없다면 그냥 다음 스테이션에게 token 넘겨줌

- 있으면, 그 token이 사용중임을 나타내기 위한 값과 데이터(token+data=전체 데이터)를 다음 스테이션에게 줌

프레임을 넘겨 받은 스테이션은 자기 자신이 데이터의 목적지인지를 확인

- 아니면 그냥 다음 스테이션으로 다시 넘김

- 자신이 목적지인 경우 그 정보를 복사해 둔 후 그 프레임을 옆에 있는 다음 스테이션으로 넘겨 주고 나서, 복사해둔 정보를 상위 프로토콜로 올려서 처리

 

특징

  • 항상 접속을 시도할 수는 없다
  • 하지만 접속에 성공하기까지 기다려야 하는 최대 시간이 정해진다
  • 신뢰성

Token Ring 네트워크 장애에 대처 하는 방법

  • active monitor(링에 관한 여러 가지 관리 기능을 가진 station) 있다
  • MSAU 장치를 중심으로 스타(star) 구조를 갖게 되는데, 이때 중심에 있는 MSAU 장치가 네트워크에 대한 관리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음. 그래서 문제를 일으키는 station을 배제 시킬 수 있음. 
  • beaconing 알고리즘 : 각각의 스테이션 모두가 네트워크 장애에 대처할 있는 기능 제공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Layer  (0) 2020.02.24
Data Link layer  (0) 2020.02.24
Transport error  (0) 2020.02.24
Connectionless VS Connection Oriented  (0) 2020.02.24
layer 3 ~ 1) Network, Data Link, Physical Layer  (0) 2020.02.24